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생, 대학원생, 연구자라면 논문 표절 검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많은 학위 논문, 과제, 보고서, 그리고 학술지 투고 과정에서 표절 검사 사이트를 통해 표절률 검사를 거치지 않으면 심사조차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urnitin, iThenticate, 카피킬러, Grammarly, Plagscan 둥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요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들을 비교해보고, 어떤 상황에 어떤 툴이 적합한지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목차
논문 표절 검사가 중요한 이유
논문 표절률 확인은 단순히 ‘걸리지 않기 위한 절차’가 아닙니다. 연구윤리를 지키고, 자기표절을 예방하며, 국제 학술지 투고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대학원에서는 보통 표절률 검사 기준을 15~20% 이하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넘으면 심사 통과가 어렵습니다.
- 무심코 발생하는 자기 표절 방지
- 학위 논문, 과제, 보고서 심사 기준 충족
- 국제 학술지 투고 시 저널 심사 통과 필수 조건
대표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 비교
1. Turnitin
전 세계 대학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절 검사 프로그램입니다. 학생 과제, 보고서, 학위 논문 표절률 검사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교수자 관리 시스템(LMS)과 연동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적합 대상: 대학생, 대학원생
- 목적: 학위 논문, 과제, 보고서 표절 검사
- 장점: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높은 신뢰성
- 단점: 개인 단독 사용 어려움 (학교 계약 필요)
- 비용: 학교·기관 단체 계약
2. iThenticate
Turnitin 계열 서비스지만, 학술지 투고에 최적화된 표절 검사 사이트입니다. Elsevier, Wiley 등 주요 국제 저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논문 표절률 확인 툴입니다.
- 적합 대상: 연구자, 교수
- 목적: SCI/SCIE 논문 투고 전 검사
- 장점: 국제 저널 공식 인정
- 단점: 유료, 검사 1회 비용이 큼
- 비용: 건별 결제, 기관 구독
3. 카피킬러 (CopyKiller)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입니다. 한국어 데이터베이스에 강점이 있어 대학원 논문 표절률 검사 방법으로 최적입니다.
- 적합 대상: 대학원생, 국내 연구자
- 목적: 학위 논문 및 보고서 제출 전 점검
- 장점: 한국어 DB 최적화, 대학 공식 도입
- 단점: 무료 버전은 글자 수 제한
- 비용: 일부 무료 + 유료 버전
4. Grammarly Plagiarism Checker
영어 논문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찾는다면 Grammarly가 유용합니다. 문법 교정 + AI 기반 표절률 검사가 함께 제공됩니다. 다만 한국어 논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적합 대상: 영어 논문 작성자
- 목적: 영어 논문 교정 + 표절률 검사
- 장점: 문법 교정과 병행 가능
- 단점: 유료, 한국어 미지원
- 비용: Premium 플랜 필요
5. Plagscan
유럽 대학 및 기관에서 활용도가 높은 표절 검사 프로그램입니다. 개인 계정을 만들어 직접 검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적합 대상: 유럽권 대학생, 연구자
- 목적: 논문 및 보고서 표절 검사
- 장점: 개인 결제 가능, 직관적 인터페이스
- 단점: 한국어 DB 부족
- 비용: 유료 (분량별 과금)
무료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
짧은 과제나 리포트 수준이라면 무료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SmallSEOTools, Quetext가 있으며, 간단한 문장 비교 기능을 제공합니다. 다만 정확도는 낮아 대학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대체하기는 어렵습니다.
논문 표절 검사 사이트 비교 요약
| 사이트명 | 대상 | 목적 | 장점 | 단점 | 비용 |
|---|---|---|---|---|---|
| Turnitin | 대학생 | 과제/논문 검사 | 방대한 DB | 개인 사용 어려움 | 학교 계약 |
| iThenticate | 연구자 | 저널 투고용 | 국제 저널 인정 | 건별 비용 큼 | 유료 |
| 카피킬러 | 대학원생 | 한국어 논문 검사 | 국내 최적화 | 무료 제한 | 무료+유료 |
| Grammarly | 영어 논문 작성자 | 교정+검사 | 문법 교정 병행 | 한국어 불가 | 유료 |
| Plagscan | 유럽권 | 논문/보고서 | 개인 사용 가능 | 한국어 DB 부족 | 유료 |
| 무료 사이트 | 학생 | 간단 검사 | 무료 | 정확도 낮음 | 무료 |
논문 제출 전, 표절 검사는 필수
논문 표절 검사는 연구 윤리를 지키기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상황에 맞는 표절 검사 사이트를 선택하고, 앞으로는 AI 탐지 기능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GPT, Gemini 같은 생성형 AI가 확산되면서, 단순한 논문 표절률 확인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실제로 Turnitin은 2023년부터 AI Writing Detection 기능을 추가하여 AI 작성 문장을 탐지하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GPTZero, Copyleaks 같은 별도 AI Detector 서비스도 등장해 “이 문장이 사람이 쓴 글인지, AI가 쓴 글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논문 제출 전, AI가 작성한 글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정리해보겠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