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양치를 열심히 해도 입냄새가 쉽게 올라오거나, 정기적으로 스케일링을 받아도 잇몸이 자주 붓는다면 단순한 '청결'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주목받는 것이 바로 구강 유산균인데요.
지난 글에서는 👉 구강 유산균의 개념과 추천 제품, 섭취 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특히 임상적 근거가 풍부한 S. salivarius M18 구강 유산에 대해 집중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 균주는 뉴질랜드의 생명공학 기업 BLIS Technologies에서 분리·연구 개발된 구강 유산균으로 해외에서는 판매된지 꽤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포스팅에서 확인해주세요.
구강 유산균 M18, 어떤 균주인가요?
Streptococcus salivarius M18은 뉴질랜드의 BLIS 社(Blis Technologies)에서 건강한 성인의 입안에서 분리하여 개발한 구강 특화 프로바이오틱스입니다.
천연적으로 구강 점막에 정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치아 우식 관련 세균(S. mutans)을 억제하는 항균 펩타이드인 bacteriocin을 생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 표면에서 덴탈 플라크 형성을 억제하는 효소를 분비하기도 합니다.
즉, 구강 유산균 M18은 인위적으로 만든 균주가 아니라, 이미 건강한 사람 입 안에 공존하던 유익균을 선별 및 개량한 것입니다.
구강 유산균 M18, 정말 효과 있나요?
실제로 다양한 임상 연구에서 M18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 충치 원인균(S. mutans) 억제
- 잇몸 출혈 및 치은염 개선
- 치태(플라그) 지표 감소, 침의 완충능 상승
-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안전성 확인
아래에는 임상 결과 중 핵심 연구들을 하나씩 정리해두었습니다. 정리한 내용 이상으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논문 원문도 함께 확인해보세요!
🔬 M18, 어린이의 치태 감소에 도움될까?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임상시험에서 충치 활동성이 높은 어린이 100명을 대상으로 S. salivarius M18 로젠지를 3개월간 섭취하게 하고, 치태(플라그) 지수와 충치균 수준 변화를 관찰했습니다.
- M18 복용군에서 치태 지수(plaque score)가 유의미하게 감소
- 특히 초기 치태 수치가 높은 어린이에서 효과 더 뚜렷함
- 일부 M18 정착(콜로니 형성)이 잘 된 아이들에선 S. mutans 수치도 감소
M18은 치태 조절과 구강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정착이 잘 이루어질수록 항충치 효과가 더 뚜렷해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출처: Burton et al. J Med Microbiol. 2013;62(Pt 6):875–884. DOI: 10.1099/jmm.0.056663-0
🔬 고위험 아동의 충치 예방, M18이 도움 될까?
충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아동기 만성질환 중 하나입니다. 이 연구는 충치 고위험군 아동 76명을 대상으로 90일간 S. salivarius M18 프로바이오틱스를 투여했을 때 충치 예방 가능성이 얼마나 높아지는지를 Cariogram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분석한 이중맹검, 무작위배정, 위약대조 임상시험입니다.
- Mutans streptococci 균 억제를 통해 충치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
- 덱스트라네이즈(dextranase), 유레이스(urease) 효소를 통해 플라그 축적 억제 + 산도 완화
- Cariogram 결과상 충치 예방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증가함
연구진은 치과 임상에서 충치 고위험 아동에게 M18을 보조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향후 예방 중심의 치료 전략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출처: Di Pierro et al. Clin Cosmet Investig Dent. 2015;7:107–113. DOI: 10.2147/CCIDE.S93066
🔬 K12·M18 유산균, 충치 고위험군에도 효과 있을까?
충치 위험이 높은 성인을 대상으로, BLIS K12™와 M18™ 로젠지를 3개월간 복용했을 때 충치 예측 점수(Cariogram)가 얼마나 개선되는지를 비교한 연구입니다.
- 평균 충치 예방 확률: K12군 47.1%, M18군 41.4%, 대조군 32.5%
- K12 섭취군은 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 M18도 개선 경향
- 두 유산균 모두 충치 고위험군의 리스크를 낮추는 데 기여 가능성 확인
M18은 K12보다 효과가 크진 않았지만, 전반적으로 충치 위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진은 향후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출처: Poorni et al. Cureus. 2022;14(3):e23282. DOI: 10.7759/cureus.23282
🦷 M18, 실제로 치은염·치태 개선에 도움 될까?
이 연구는 18~25세 경증 치은염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4주간 M18 로젠지 섭취 효과를 분석한 이중맹검, 무작위, 위약대조 임상시험입니다.
- 4주 후, 치은염 지표(GI)와 치태 지표(PI)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 잇몸 출혈 지표(GBI) 역시 4주 후 유의미하게 감소
- 효과는 섭취 중에만 뚜렷했고, 섭취 종료 후 4주에는 다시 baseline 근접
- 특이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음
이 논문은 Streptococcus salivarius M18 균주가 잇몸 염증과 구강위생 개선에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단, 지속적인 섭취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출처: Babina et al. Nutrients. 2023;15(18):3882. DOI: 10.3390/nu15183882
🔬 어린이 충치균 억제에 효과?
이 임상시험은 3~6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S. salivarius M18 섭취 시 Streptococcus mutans (충치균)의 감소 여부를 평가했습니다. 대조군(무가당 로젠지)과 비교해 M18 복용군에서 유의미한 충치균 억제가 관찰되었습니다.
- M18 섭취 7일 후, S. mutans 수치 유의미하게 감소
- 타액의 완충능 상승 → 구강 산성도 조절에 긍정적
- 충치 경험 지수(def score)와 S. mutans 수치 간 상관관계 존재
단기간 복용만으로도 어린이 구강 내 충치균 억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예방 보조 전략으로 M18 로젠지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입니다.
출처: Salim et al. Int J Clin Pediatr Dent. 2023;16(2):259–263. DOI: 10.5005/jp-journals-10005-2527
🔬 M18, 잇몸출혈과 치태를 줄여줄까?
이중맹검, 위약대조로, 잇몸염(Gingivitis)을 가진 성인 62명을 대상으로 S. salivarius M18 로젠지를 3개월간 섭취 시 잇몸 출혈과 플라그 지표 개선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 잇몸 출혈 지수(GBI): 1개월부터 유의미한 감소 (효과 크기 최대 1.09)
- 치태 지수(Plaque Index): 2~3개월 복용 후 유의한 개선
- 심각한 부작용 없음, 다만 효과는 섭취 중단 시 소실되는 경향
연구진은 M18 섭취가 구강 염증과 플라그 억제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으며, 장기적인 복용 유지가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출처: Babina et al. Dent J (Basel). 2024;12(7):222. DOI: 10.3390/dj12070222
🔬 치주염 치료 보조로 M18이 효과 있을까?
이 연구는 중증 치주염(Stage III/IV)을 앓는 환자 55명에게 비수술적 치주 치료(NSPT) 후 S. salivarius M18 로젠지를 12주간 병용 투여하며 치주 건강 지표를 추적한 임상시험입니다.
- 잇몸 출혈(BoP), 치태 지수(PI), 치주낭 깊이(PPD) 모두 유의하게 개선
- 임상 부착 수준(CAL)에는 뚜렷한 차이 없음
- 유해 세균 감소 또는 미생물총의 병원성 약화 관찰
연구진은 M18이 치주 치료의 보조제로서 안전하며, 치주낭 환경을 개선하는 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구강 내 미생물 균형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출처: Chen et al. 3 Biotech. 2025;15(6):192. DOI: 10.1007/s13205-025-04363-w
M18 균주의 안전성
🔬 M18 균주는 안전할까? (2022, Benef Microbes)
S. salivarius M18은 건강한 성인의 구강에서 분리된 유래 균주로, 충치와 치주염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본 논문은 이 균주의 안전성 평가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합니다.
-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M18 균주는 다른 균주들과 명확히 구별 가능
- 항생제 내성 유전자나 병원성 유전자를 보유하지 않음
- 이미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K12 균주와 직접 비교해도 안전성에서 동등하거나 우수한 수준
연구진은 “인체 대상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하기에 충분히 안전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출처: Hale et al. Benef Microbes. 2022;13(1):47–60. DOI: 10.3920/BM2021.0107
M18 구매 가이드
M18 균주는 뉴질랜드 BLIS사가 분리하고 상업화한 특허 균주로, ‘BLIS M18’이라는 이름으로 아이허브(iHerb), 쿠팡 직구 등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 제품명 예시: BLIS M18 ThroatGuard, OralHealth Lozenge 등
- 형태: 보통 로젠지 타입으로, 입 안에 천천히 녹여 섭취
- 보관: 개봉 전엔 상온 가능하나, 개봉 후엔 냉장 권장
- 복용 기간: 임상 연구에선 7일~3개월 이상 복용
구매 시 유의할 점: ‘M18’이라는 균주명이 정확히 적혀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단순히 '구강 유산균'이라 되어 있다고 해서 모두 같은 효과를 가진 것은 아닙니다.
결론 및 한계
S. salivarius M18은 충치 유발균인 S. mutans를 억제하고, 치은염 및 플라그 지표를 개선하는 등 다양한 임상적 근거를 가진 구강 유산균입니다.
- 치주염, 충치 예방, 구취 개선 등 복합적 효능이 보고됨
- 안전성 측면에서도 항생제 내성이나 병원성 인자가 없어 인체 적용에 적합
다만, 모든 연구가 장기 추적 연구는 아니며, 제품별 제형과 함량, 복용 조건에 따라 효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칫솔질과 스케일링 등 기본적인 구강 위생 관리와 함께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입냄새와 잇몸 건강, 구강 유산균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 (섭취 방법·추천 가이드) - Health Info 24/7
구강 유산균이란 무엇인지, 왜 요즘 주목받는지, 구강 유산균 효과, 추천 균주(K12, M18, L. reuteri, W. cibaria CMU), 라벨 읽는 법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health.info-247.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