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즈 유산균 LGG(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 완벽 가이드: 용량·효과·부작용·임상근거 총정리

키즈-유산균-LGG-완벽-가이드


요즘 부모님들 사이에서 키즈 유산균,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제품 고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균주별로 효과가 다르고, 어린이 대상 임상 근거가 있는 키즈 유산균 균주는 많지 않기 때문이죠. 게다가 섭취량도 걱정이에요.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체중·체표면적이 낮기도 하고, 처음 프로바이오틱스를 먹을 때 가스·복부팽만 같은 적응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이죠.

따라서, 어린이 유산균을 고를 때에는 ① 균주, ② 섭취량, ③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임상 연구가 많이 축적된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를 중심으로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의 효과·권장 섭취량·부작용·제품 선택법을 정리했습니다. 

키즈 유산균을 고민하는 부모님들에게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 선택의 길잡이가 되길 바랍니다.



왜 LGG인가? 키즈 유산균 핵심 포인트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는 유아, 소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가 많은 대표 균주입니다. 

아동의 호흡기 감염 감소, 항생제 관련 설사(AAD) 예방, 일부 기능성 복통(IBS) 개선 등에서 긍정적 결과가 보고되었고, 최근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가능성도 관찰되었죠.

다만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이나 급성 위장관염에 대해선 효과가 별로 없다고 나온 대규모 위약대조 임상시험 결과도, 목적에 맞는 제품 선택이 중요합니다.



연령대별 프로바이오틱스 섭취 범위(연구 참고치)

아래 수치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에서 자주 설정된 섭취량 범위입니다. 최종 섭취는 제품 라벨전문의/보호자 판단을 따르세요.


연령대 범위(일일 CFU) 비고/사례 균주
영아 (0–2세) 10⁸–10⁹ L. reuteri 등 ‘수억’ 단위 연구 다수
유아 (3–5세) 10⁸–10¹⁰ Lactobacillus rhamnosus GG, BB-12, S. boulardii
아동 (6–12세) 10⁹–10¹⁰ 급성설사·AAD 맥락에서 사용
청소년 (13세~) ≥10⁹–10¹⁰ 체중/목적 따라 성인 설계 근접


임상 근거: 키즈 유산균 LGG 리뷰

Lactobacillus rhamnosus GG (LGG) 유산균은 아동을 대상으로 효능을 평가한 임상 문헌이 다수 존재합니다. 호흡기, 설사 예방, 기능성 복통 장애, 장 기능,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문헌이 있으니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세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예방

배경·목적: 아동 281명에게 LGG 10⁹ CFU/일을 3개월 섭취하도록 했을 때, 호흡기·소화기 감염 예방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결과: 위약 대비 상기도 감염(URTI) 위험 감소, 3일 초과 호흡기 감염 감소, 호흡기 증상 일수 감소(p<0.001) 되었으나, 위장관 감염 예방 여부에서는 대조군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결론: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LGG는 아동의 호흡기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 효과: 상기도 감염(URTI) 위험·지속기간·증상일수 ↓
  • 한계: 위장관 감염 예방은 불확실
출처: Clin Nutr. 2010;29(3):312-6. doi:10.1016/j.clnu.2009.09.008


항생제 관련 설사(AAD) 예방

배경·목적: 항생제 치료 중인 소아에서 LGG가 A항생제 관련 설사(AAD)를 줄이는지 평가했습니다.
디자인: LGG 1–2×10¹⁰ CFU/일을 항생제 복용 기간 병용
결과: AAD(하루 ≥ 2회 액상변) 사례가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며, 대변 빈도 감소·형태 개선도 관찰되었습니다.
결론: 키즈 유산균 LGG는 항생제를 복용 중인 소아의 항생제로 인한 설사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 효과: AAD 사례·대변 이상 유의 감소
  • 한계: 항생제/연령/제형별 세부 분석 추가 연구가 필요
출처: J Pediatr. 1999;135(5):564-8. doi:10.1016/S0022-3476(99)70053-3


기능성 복통장애(FAPD) (특히 과민성대장증후군(IBS)) 개선

배경·목적: FAPD 소아에서 LGG의 복통 개선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결과: 전체 치료 성공(무통)률이 대조군 대비 LGG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기능성 복통장애를 앓고 있는 어린이 중 과민성대장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의 통증 빈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결론: 어린이 유산균으로 LGG는 특히 IBS 소아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습니다.
  • 효과: 전체 치료 성공↑, IBS에서 두드러짐
  • 한계: 기능성 소화불량증(FD), 기능성 복통(FAP)을 앓는 어린이에선 일관성 제한
출처: APT. 2007;25(2):177–184. doi:10.1111/j.1365-2036.2006.03175.x


반복 복통 & 장 장벽 기능 개선 

배경·목적: 과민성대장증후군(IBS), 기능성 복통을 앓는 소아에서 LGG 8주 투여가 복통 빈도·심각도장 투과성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습니다.
결과: LGG를 섭취한 아이들의 복통 빈도·심각도가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습니다. 치료 성공률이 상승하였고, 장 투과성 이상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효과는 주로 IBS 아형에서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결론: LGG는 소아 IBS에서 증상 완화장 장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효과: 복통 빈도/심각도 ↓, 장 투과성 개선
  • 한계: 용량 최적·장기 데이터 추가 필요
출처: Pediatrics. 2010;126(6):e1445–52. doi:10.1542/peds.2010-0467


아토피 피부염(AD) 개선

배경·목적: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6~36개월 소아에 12주간 매일 LGG 1×10¹⁰ CFU을 투여했을 때, 아토피피부염의 SCORAD(중증도), 치료 약물 복용의 감소 정도, 장/피부 마이크로바이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습니다.
결과: LGG군에서 중증도가 개선되고, 치료 약물 복용이 필요 없는 날이 증가하였고(약물 복용 정도가 감소), 장/피부에서 미생물군이 유익하게 변화하였습니다.
결론: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로 LGG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 효과: 중증도 개선, 약물 복용 감소, 미생물군 개선
  • 한계: 장기 추적·다기관 재현성 추가 연구 필요
출처: Pediatr Allergy Immunol. 2022;33(8):e13836. doi:10.1111/pai.13836


영아에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배경·목적: 생후 6개월간 LGG 보충이 24개월까지 호흡기 바이러스성 질환 빈도·중증도를 낮출지를 평가한 연구입니다.
결과: 시험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호흡기 중증도 개선이 관찰되지는 않았습니다.
결론: 키즈 유산균 LGG의 조기 보충이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에 일관된 근거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 결과: 발생 정도 ·중증도 차이 없음
  • 한계: 개선도에 대해서는 부모가 대신 보고를 하여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었으며, 감염환경 이질성도 존재하였음
출처: Clin Pediatr (Phila). 2023;62(5):485-491. doi:10.1177/00099228221137427



어린이 유산균 선택법 – 체크리스트

어린이-유산균-선택법

  1. 정확한 균주명 표기: Lactobacillus rhamnosus GG처럼 주(strain)까지 표기되어야 합니다.
  2. 보장 CFU: “제조시”가 아닌 유통기한 말까지 보장 CFU 확인
  3. 임상 근거: 본문처럼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 근거가 있는지 확인
  4. 제형: 어린이 유산균 분말/츄어블 등 아이가 잘 먹는 형태
  5. 보관: 냉장 필요·내열/내산 코팅 등 안정성 정보
  6. 주의: 미숙아·면역저하·중증 질환 아동은 전문의 상담 필수


어린이 유산균 분말, 잘 먹는 방법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는 츄어블, 캔디 형태로 되어 있을 때 아이들이 가장 섭취가 편하지만, 츄어블, 캔디 형태로 제조를 할 때에는 높은 열이 가해지면서 유산균이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츄어블, 캔디 형태보다는 분말 형태의 제품이 많은데요, 어린이들이 분말 유산균을 잘 먹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 규칙성: 매일 같은 시간대 섭취하도록 하여 아이들에게 습관이 생기도록 해주세요
  • 혼합: 미지근한 우유/요거트/물에 섞어서 주세요(뜨거운 음료는 안되요)
  • 적응: 처음엔 적은 용량으로 주다가 1–2주에 걸쳐 점진적으로 양을 늘리세요
  • 병용: 항생제 복용 중이면 AAD 예방 근거가 있는 균주와 섭취량을 확인하세요
  • 식이: 채소·과일·통곡 등 프리바이오틱스 식이섬유를 같이 공급하면 유익균이 더 잘 자라요

부작용·안전성: “많이”보다 “맞게”

초기 가스·복부팽만은 적응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보통 1–2주 내 완화됩니다. 불편하면 용량을 줄였다가 천천히 올리세요.

혈변/고열/탈수/복통 지속 등 이상 신호가 있으면 진료가 필요합니다. 미숙아·중증 질환·면역저하 아동은 전문의 상의 후 결정하세요.



자주 하는 질문(FAQ)

Q. 여러 균주를 섞으면 더 좋은가요?
A. 무조건 균주를 섞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LGG처럼 임상적 근거가 있는 균주 1~2 종으로 시작하면서 유익균을 늘려가는 것이 좋아요.

Q. 얼마나 오래 먹이나요?
A. 목적에 따라 다릅니다. 항생제에 의한 설사 개선은 항생제를 복용하는 단기 기간 동안만 공급하면 되지만, 기능성 복통 장애, 과민성대장증후군,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수 주~수 개월 섭취하면서 경과를 관찰하도록 하세요.

Q. 키즈 유산균 LGG가 감기(바이러스)도 줄이나요?
A. 아동의 호흡기 감염을 줄였다는 RCT가 있는 반면, 영아기 조기 보충으로 2년간 바이러스성 호흡기질환을 줄이지 못했다는 RCT도 있습니다. 근거가 상충하므로 과장 광고는 경계하세요.


마무리: 어린이 유산균, 균주와 근거를 꼭 확인하세요

어린이 프로바이오틱스는 단순히 '많이 먹이면 좋은 건강기능식품'은 아닙니다. 

연령별 권장량(10⁸–10¹⁰ CFU/일 범위)과, 임상 근거가 있는 키즈 유산균 균주(LGG, BB-12, S. boulardii, L. reuteri 등)를 확인해야 안전하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무작정 성인용량을 그대로 따라가는 제품이나, 균주명이 불명확한 어린이 유산균 제품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이에게 맞는 어린이 유산균 추천 제품을 고를 때에는, 라벨에 명확히 표기된 균주명·보장 CFU·연령별 권장량·임상 근거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부모님의 신중한 선택이 아이의 장 건강과 면역력을 지키는 첫걸음입니다.



참고문헌(선별)

  1. Hojsak I, et al. Clin Nutr. 2010;29(3):312–6. doi:10.1016/j.clnu.2009.09.008.
  2. Vanderhoof JA, et al. J Pediatr. 1999;135(5):564–8. doi:10.1016/S0022-3476(99)70053-3.
  3. Gawrońska A, et al. Aliment Pharmacol Ther. 2007;25(2):177–84. doi:10.1111/j.1365-2036.2006.03175.x.
  4. Francavilla R, et al. Pediatrics. 2010;126(6):e1445–52. doi:10.1542/peds.2010-0467. 
  5. Carucci L, et al. (ProPAD) Pediatr Allergy Immunol. 2022;33(8):e13836. doi:10.1111/pai.13836. 
  6. Conrad LA, et al. Clin Pediatr (Phila). 2023;62(5):485–491. doi:10.1177/00099228221137427. 
  7. Hojsak I, et al. Guidance on probiotics in pediatrics. Acta Paediatr. 2018;107(6):927–937. doi:10.1111/apa.14270. 

댓글 쓰기